임신 초기 초음파 용어 총정리 GS GA CRL 핵심 키워드
임신 초기에 받게 되는 초음파 검사에서 들려오는 생소한 용어들, 이해하기 어려우셨죠? GS, GA, CRL 등 의사가 말하는 약어들은 사실 임신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오늘은 임신 초기 초음파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GS는 뭔가요?
GS는 Gestational Sac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태낭' 또는 '아기집'이라고 부릅니다. 임신 초기 5~6주경에는 태아가 너무 작아 초음파에서 보이지 않을 때 이 태낭을 확인합니다. 초음파 사진 우측 하단에 표시되는 GS는 태낭의 크기를 나타내며, 이는 MSD(Mean Sac Diameter)로 측정됩니다.
MSD는 태낭의 세 방향(D1, D2, D3) 길이를 평균한 값으로, cm 단위로 표기됩니다. 예를 들어 태낭의 길이가 각각 2.5cm, 2.3cm, 2.4cm라면, MSD는 약 2.4cm로 계산됩니다. 이 시기에는 태아가 아직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GS 크기로 임신 주수를 추정하게 됩니다.
GS 크기 (MSD) | 추정 임신 주수 |
---|---|
1.0cm | 약 5주 |
1.5cm | 약 5주 3일 |
2.0cm | 약 5주 6일 |
2.5cm | 약 6주 |
GA로 임신 주수 확인하는 법
GA는 Gestational Age의 약자로, 임신 주수를 의미합니다. "6w3d"와 같이 W(주수)와 D(날짜)로 표기되는데, 이는 6주 3일 임신을 뜻합니다. GA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됩니다. 하나는 마지막 생리 시작일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초음파 측정값(주로 CRL)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입니다.
임신 12주 이전에는 CRL을 주로 사용해 GA를 산정합니다. 12주 이후에는 BPD(머리 좌우 길이), AC(복부 둘레) 등 다른 지표들이 추가적으로 사용됩니다. GA는 태아의 성장을 추적하고 출산 예정일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임신 초기 초음파 용어 중에서도 GA는 의사와 산모 사이의 의사소통에 가장 자주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산전 관리에서 모든 검사와 처방은 이 GA를 기준으로 계획됩니다.
CRL로 태아 크기 측정하는 방법
CRL은 Crown-Rump Length의 약자로, 태아의 머리 끝에서 엉덩이 끝까지의 직선 길이를 측정한 값입니다. 임신 초기 5주에서 14주 사이에 주로 사용되며, 이 시기에 태아 크기를 측정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초음파 검사에서는 태아의 최대 길이를 잡아 cm 단위로 기록합니다. 예를 들어, 7주 임신 시 CRL이 1.2cm라면 이는 7주 임신에 해당하는 정상 범위입니다. CRL은 태아의 성장 속도를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GA와 EDD(출산 예정일)를 결정하는 핵심 데이터로 활용됩니다.
임신 주수 | 평균 CRL 길이 |
---|---|
6주 | 0.4-0.5cm |
7주 | 1.0-1.3cm |
8주 | 1.5-1.8cm |
9주 | 2.0-2.4cm |
10주 | 2.7-3.1cm |
EDD가 중요한 이유
EDD는 Expected Date of Delivery의 약자로, 추정 출산 예정일을 의미합니다. GA를 기반으로 계산되며, 일반적으로 임신은 40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GA가 6w3d일 경우, EDD는 33주 4일 후로 산정됩니다.
EDD는 단순히 출산일을 예측하는 것 외에도 태아의 성장 지연이나 조기 분만 위험을 모니터링하는 데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임신 12주 이전에 결정된 EDD는 이후 초음파 검사에서 태아 크기와 비교해 발육 상태를 평가하는 기준이 됩니다.
다만, 태아의 성장 속도는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EDD는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야 합니다. 실제 출산은 EDD 전후 2주 내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정상적인 범위로 간주됩니다.
초음파에서 자주 보이는 다른 용어들
임신 초기 초음파 용어 외에도, 임신이 진행됨에 따라 초음파 사진에는 다양한 용어들이 등장합니다. BPD(머리 좌우 길이), AC(복부 둘레), FL(넓적다리 뼈 길이), HC(머리 둘레) 등이 대표적입니다.
BPD는 태아 머리의 좌우 폭을 측정해 두개골 크기를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AC는 복부 둘레로 태아의 체중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며, FL은 넓적다리 뼈 길이로 골격 발육 상태를 평가합니다. HC는 머리 둘레로 두개골 성장을 모니터링하는 지표입니다.
이러한 지표들은 주로 임신 후기(20주 이후)에 활용되며, 태아의 전반적인 성장과 발달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초음파 사진 속 숫자와 단위 이해하기
초음파 사진 우측 하단에는 다양한 수치와 단위가 표시됩니다. "CRL 1.5cm"는 태아 몸길이가 1.5cm임을 의미하고, GA는 "6w3d"처럼 주수와 날짜를 함께 표기합니다. EDD는 보통 "2025-04-22"와 같은 형식으로 날짜를 기재합니다.
초음파 사진에 표시되는 숫자는 cm(센티미터), mm(밀리미터), 주수(w), 날짜(d) 등 다양한 단위로 표현됩니다. 숫자 뒤에 단위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cm로 해석합니다.
용어 | 의미 | 표기 예시 |
---|---|---|
CRL | 태아 머리-엉덩이 길이 | CRL 1.5cm |
GA | 임신 주수 | GA 6w3d |
EDD | 출산 예정일 | EDD 2025-04-22 |
BPD | 태아 머리 좌우 길이 | BPD 4.8cm |
AC | 태아 복부 둘레 | AC 15.6cm |
임신 주수별 초음파 용어 변화
임신 주수에 따라 초음파에서 확인하는 주요 지표와 용어가 달라집니다. 임신 5~8주에는 GS(태낭), YS(난황낭), CRL이 주로 표시됩니다. 이 시기에는 태아의 심장 박동 유무도 중요하게 확인합니다.
9~14주에는 CRL과 GA가 중심이 되며, 이 시기에 EDD가 최종적으로 결정됩니다. 12주 초음파에서는 일반적으로 CRL이 5.2cm 정도로 측정되어 GA 12w0d로 계산됩니다.
15주 이후부터는 BPD, AC, FL, HC 등이 추가되어 태아의 체중을 추정하고 전반적인 성장을 평가합니다. 20주 초음파에서는 BPD 4.8cm, AC 15.6cm 등이 측정되며, 이 시기에는 주요 장기의 발달 상태도 함께 확인합니다.
초음파 용어를 정확히 해석하는 팁
초음파 사진을 해석할 때는 우측 하단에 표시된 정보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A 6w3d, CRL 1.2cm"라고 표시되어 있다면, 이는 임신 6주 3일, 태아 몸길이 1.2cm를 의미합니다.
약어의 의미를 모를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설명을 들어야 합니다. 또한 숫자 뒤에 단위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cm로 가정합니다.
병원마다 같은 용어도 다른 방식으로 표기될 수 있으므로, 검사 기관별 차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다른 병원으로 옮길 경우, 이전 초음파 결과지를 가지고 가서 의사에게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 초기 초음파 용어 알아두면 안심
임신 초기 초음파 용어를 이해하면 의사와의 소통이 원활해지고 임신 과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GS, GA, CRL 등 핵심 용어들은 태아의 성장과 발달을 모니터링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초음파 검사 결과를 받을 때마다 이러한 용어들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의사에게 자세한 설명을 요청하세요.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한 임신 생활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