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바디 남자 골격근량 평균은 몇 kg? 연령대별·체중별 정리

반응형

1. 인바디 기준 “골격근량”이란?

  • 골격근량(SMM, Skeletal Muscle Mass): 팔·다리·몸통 등 뼈에 붙은 근육 총합을 뜻합니다 
  • 인바디(InBody)는 생체전기저항 분석(BIA) 방식을 사용하며, 비침습적으로 근육·지방·수분을 정밀 측정합니다 .
  • 골격근량 비율이 남성은 보통 체중의 45%, 여성은 37~40% 선입니다 

인바디 남자 골격근량 평균은 몇 kg? 연령대별·체중별 정리
인바디 남자 골격근량 평균은 몇 kg? 연령대별·체중별 정리


2. 한국 남성 골격근량 평균 수치

  • 20대 한국 남성: SMI 약 8.3–8.4 kg/㎡ (인바디 기준, 신장 제곱당 계산) 
  • 30~40대는 비슷하거나 조금 낮아 8.2–8.4 kg/㎡, 50대 이후 서서히 8.2 kg/㎡ 이하로 감소합니다
  • 절대값 기준으로 체중 70 kg 남성의 골격근량은 약 31.5 kg 수준입니다 .

3. 체중별 평균 골격근량(인바디 기준)

한국 남성들의 몸무게 대비 골격근량 평균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체중 (kg) 평균 골격근량 (kg)
60 27.0
65 29.25
70 31.5
75 33.75
80 36.0
85 38.25
90 40.5
💡 예를 들어 체중 75 kg라면, 골격근량 약 33.5–34 kg이면 평균 이상입니다.
체중 vs 골격근량 그래프

4. 연령대별 추세와 건강의 의미

  • 젊은 20대에서 SMI 8.3–8.4 kg/㎡는 근골격 건강 지표 상 정상~우수 수준.
  • 50대 이후 0.15–0.26 %/년 정도로 근육 감소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 골격근량이 충분할수록 혈압·심혈관질환 위험 감소, 대사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됩니다 .

5. 내 몸 상태, 어떻게 비교·판단할까?

  1. SMI 계산: (골격근량 ÷ 키(㎡))
    • 20~30대 남성 평균: 8.3–8.4 kg/㎡
    • 60대 전후: 7.9 kg/㎡ 아래로 떨어질 수 있음 .
  2. 체중별 근육량 비교: 체중 70kg 이상인 경우 골격근량이 평균보다 높은지 확인
  3. 근감소증 기준: SMI < 7.4 kg/㎡ → 근감소증(Class I) 경계선 .

6. 골격근량 높이는 방법

  • 🔸 저항 운동(웨이트 트레이닝): 점진적 과부하 원칙이 기본 
  • 🔸 단백질 충분 섭취: 하루 1.2–1.6g/체중 kg 권고.
  • 🔸 충분한 휴식과 수면: 7–8시간 권장, 근육 회복과 성장에 필수.
  • 🔸 지속적인 인바디 측정: 최소 3개월마다 변화 체크.

7. 결론 정리

  • 골격근량 평균: 20대 전후 SMI 8.3–8.4 kg/㎡, 체중 70kg일 경우 골격근량 약 31.5 kg
  • 40대 이후: 매년 근육량이 서서히 줄 수 있으니 운동·단백질 섭취 필수
  • 근감소증 기준: SMI < 7.4 kg/㎡일 경우 주의 필요
  • 체중 별 수치: 60kg → 27kg, 80kg → 36kg 수준이 평균

👉 인바디 측정만으로도 현재 근육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나만의 목표 기준을 정하고, 변화에 맞춰 운동과 식단/휴식 전략을 보완해가 보세요!

반응형